티스토리 뷰

인터넷의 리소스를 가르키는 표준 이름

  • 웹에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가르킨다 (Content-Type)
<https://liberaliberli.github.io/iuntroduction.html>
  • 스킴: 어떻게 리소스에 접근하는가? → 프로토콜
  • 호스팅: 어디에 위치해있는가? → 도메인 주소
  • 리소스 경로: 서버에서 무엇을 불러오는가?

💡 브라우저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url을 통해 접근하여 요청한다.

 

URL 문법

스킴, 호스팅, 리소스 이외의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

<https://seunghun:123123@liberaliberi.githubio:8080/introduction;type=c?a=1#para=1>

<스킴>://사용자이름: 비밀번호 @ 호스팅: 포트번호 / 리소스 주소;파라미터 ?쿼리 # 프레그먼트
  • 사용자이름 : 리소스 접근을 위한 사용자 이름
  • 패스워드: 접근하려는 사용자의 비밀번호
  • 포트: 리소스를 호스팅 하는 서버거 열어놓은 포트번호
  • 파라미터: (;) 를 이용하여 파라미터를 기술한다. 호스트와 경로정보만으로 부족할 때
  • 쿼리: 리소스의 필터링 역할을 하며 ?를 이용한다. 리소스의 형식을 좁히기 위해서
  • 프레그먼트: 텍스트문서의 크기가 클 때 구절을 나누어서 접근할 수 있게 #으로 표시한다

안전하지 않은 문자

특정 프로토콜에서 삭제 될 위험이 있는 문자를 의미한다.

이스케이프

안전하지 않은 문자를 안전한 문자로 인코딩 할 수 있게 한다.

  • url에서 해당 문자를 만날 경우 특수문자로 변환하여 주소에 접근한다.
  • url에 단순영어뿐만 아니라 전세계언어부터 나아가 이진문자가 들어갈 수 있게 발전이 되었다.

문자제한

url에서 이미 선점하고 있는 문자들의 경우 다른용도로 사용할 때 인코딩 해야한다.

  • % 이스케이프 토큰으로 사용 (안전하지 않은문자열에 대해 앞에 붙어서변환)
  • / 경로의 세그먼트 나누기
  • . 경로
  • .. 경로
  • 파라그래프

  • ? 쿼리
  • ; 파라미터
  • : 사용자 비밀번호에서사용
  • $,+ 선점
  • @&= 특정스킴에서 의미가 있다
  • {}|\~[]`: 게이트웨이, 에이전트에서 불안전하게 사용된다
  • <>” : 안전하지 않은 문자 → 인코딩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  (0) 2023.03.09
[http 완벽가이드] http 메시지  (0) 2023.03.09
HTTP 개관  (0) 2023.03.09